디자인학부는 2002·2003년 개설된 디지털디자인학과와 공간디자인학과를 통합하여 2011년부터 디자인학부로 개편하면서, '통합적 디자인 사고능력을 가진 인재양성'과 '재교육을 통한 새로운 디자인 가치 창조의 요람'을 교육의 목표로 정립하였다. 또한 이를 달성하기 위한 실천전략으로 '컨셉 중심의 교육, 학제적 교육, 온·오프라인 협동교육, 수준 있는 고급디자인 교육'의 방향을 수립하였다.
진학년도 | 구분 | 이 름 | 입학년도 | 졸업일 | 진학 대학교 |
---|---|---|---|---|---|
2016 | 대학원 | 권** | 2004 | 2006.2.18 | 단국대학교 죽전캠퍼스 |
2016 | 대학원 | 박** | 2006 | 2010.8.28 | 건국대학교 서울캠퍼스 |
2016 | 대학원 | 박** | 2005 | 2009.2.21 | 홍익대학교 서울캠퍼스 |
2016 | 대학원 | 손** | 2007 | 2009.2.21 | 한양사이버대학교 |
2016 | 대학원 | 김** | 2006 | 2009.2.21 | 홍익대학교 서울캠퍼스 |
2016 | 대학원 | 오** | 2009 | 2011.8.20 | 부경대학교 |
2016 | 대학원 | 오** | 2008 | 2013.2.23 | 홍익대학교 서울캠퍼스 |
2016 | 대학원 | 고** | 2010 | 2015.8.22 | 홍익대학교 서울캠퍼스 |
2016 | 대학원 | 박** | 2011 | 2013.2.23 | 홍익대학교 서울캠퍼스 |
2016 | 대학원 | 신** | 2012 | 2015.2.14 | 홍익대학교 서울캠퍼스 |
2016 | 대학원 | 박** | 2012 | 2015.8.22 |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
2016 | 대학원 | 김** | 2013 | 2016.2.20 | 숭실대학교 |
2016 | 대학원 | 김** | 2013 | 2015.2.14 | 홍익대학교 서울캠퍼스 |
2016 | 대학원 | 이** | 2013 | 2015.8.22 |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 |
2016 | 대학원 | 황** | 2013 | 2016.2.20 | 홍익대학교 서울캠퍼스 |
2016 | 대학원 | 박** | 2013 | 2016.2.20 | 홍익대학교 서울캠퍼스 |
2016 | 대학원 | 유** | 2013 | 2016.2.20 | 홍익대학교 서울캠퍼스 |
2016 | 대학원 | 정** | 2012 | 2015.2.14 |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 |
2016 | 대학원 | 김** | 2012 | 2016.2.20 | 건국대학교 서울캠퍼스 |
2016 | 대학원 | 박** | 2013 | 2016.2.20 | 홍익대학교 서울캠퍼스 |
2016 | 대학원 | 강** | 2014 | 2016.2.20 | 이화여자대학교 |
2016 | 대학원 | 김** | 2014 | 2016.2.20 | 국민대학교 |
2016 | 대학원 | 류** | 2014 | 2016.2.20 | 이화여자대학교 |
2016 | 대학원 | 윤** | 2014 | 2016.2.20 | 홍익대학교 서울캠퍼스 |
2016 | 대학원 | 정** | 2014 | 2016.2.20 | 홍익대학교 서울캠퍼스 |
2016 | 대학원 | 정** | 2014 | 2016.2.20 | 이화여자대학교 |
2016 | 대학원 | 조** | 2014 | 2016.2.20 | 홍익대학교 서울캠퍼스 |
2016 | 대학원 | 최** | 2014 | 2016.2.20 | 한양사이버대학교 |
2016 | 대학원 | 이** | 2014 | 2016.8.20 | 성균관대학교 서울캠퍼스 |
2016 | 대학원 | 이** | 2013 | 2016.8.20 | 청주대학교 |
전공 | 졸업 후 진로 | |
---|---|---|
공간디자인 (공간설계) |
|
|
공간디자인 (공간연출) |
|
|
시각디자인 |
|
|
뉴미디어디자인 |
|
|
산업디자인 |
|
|
디자인기획 |
|
|
2011년도 졸업생
박 현 주
안녕하세요^^ 한양사이버대학교 디자인학부 08학번 박현주입니다.
몇 분 전 한양사이버대학교에서 온 전화를 받고 기쁜 마음으로 글 쓰네요
저에게 한사대는 정말 뜻 깊고 소중한 곳입니다. 입학했을 당시, 조금 걱정을 하기도 했지만, 한양사이버대학교는 다른 사이버 대학교보다도 멘토링 시스템이 잘 되어 있어서 멘토와 함께 첫 학기를 무사히 마쳤던 기억이 나네요. 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실습과 특강, 그리고 그림 그리는 동아리, 사진 찍는 동아리 등 오프라인으로 활동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 혼자가 아닌 함께라고 느낄 수 있을거에요.
저는 조기졸업이라는 목표를 위해 3년 동안 쉴 틈 없이 달려 2011년 2월 졸업을 했습니다. 현재는 홍익대학교에 편입하여 벌써 4학년을 바라보고 있네요. 졸업할 때는 시원한 마음보단 아쉬움이 컸지만, 한사대 3년을 돌이켜 보았을 때 경험과 밑거름이 되었던 것 같아 뿌듯합니다.
2013년도 졸업생
임 수 민
한양사이버대학교 디자인학부 09학번 임수민입니다.
2009년 33살의 늦은 나이로 입학을 했습니다. 한양사이버대를 선택한 가장 큰 이유는 오프라인으로 진행되는 교수님들의 특강 때문이었습니다. 사이버대지만 오프특강과 학부행사가 많아서 실습이나 교수님, 학우간의 소통이 많았습니다. 실무에서 활동하는 선후배가 많아서 인맥형성에도 도움을 받았습니다. 결정적으로 4년을 마무리하는 졸업전시는 큰 경험으로 남았습니다.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만큼 얻어가는 것이 많은 학교입니다. 그리고, 저는 2017년 한양사이버대학원 디자인 기획에 입학했습니다. 새로운 배움을 위한 한 발을 또 한번 내딛었습니다. 만족스런 발전을 이루게 해주신 디자인학부 교수님들께 감사드립니다.
2007년도 졸업생
김 국 환
저는 현재 (주)키마파트너스라는 건축과 실내건축이라는 공간 전체를 아우르고,디자인쪽으로 특화된 아뜰리에 사무실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IMF시기에 군제대후 대학진학을 할수 없었던 터라 생업이 절실했었던 저에게 한양사이버대학교는 저에게 새로운 기회와 도전이었습니다.
저는 지금 건축설계와 실내건축설계의 영역에 대하여 구분짓지 않고, 공간이라는 개념으로 디자인을 하고 있는데, 이는 어쩌면 교수님들에게 받은 영향으로 공간이라는 전체적이고 포괄적인 개념으로 건축을 이해하고 건축주들에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렇게 제 자신만의 나름대로의 건축세계를 만들어 갈 수 있는 탄탄한 원동력이되었습니다.
그리고 오프라인 활동이 강화된 한양사이버대학의 강의 방식은, 잠재된 학구열에 대한 열망을 가진 많은 사람들에게 새로운 생각을 일깨우며, 다양한 연령대와 직업을 가진 사람들이 만날 수 있는 만남의 장이 되어,서로에게 좋은 동기부여가 되었습니다.
지금도 그때 학우들과의 만남이 서로에게 좋은 동업자이거나 서로에게 기회제공자가 되어 좋은 교류를 만들어 갈수 있어 좋았습니다.
한양사이버대학교 디자인학부의 발전가능성을 생각해보면, 디자인 리더를 꿈꾸는 분들에게 현실적으로 더할 나위 없는 이상적인 학교가 되지 않을 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감사합니다.. ^^
2015년도 졸업생
신 효 연
" 마음의 캔버스에 그린 그림은 언젠가 반드시 현실이 된다! "
꿈이었으며, 꿈이 이루어지고, 꿈일 이 곳! 한양사이버대학교 디자인 학부와 함께.. 안녕하세요! 11학번 디자인기획 전공 신효연입니다!
현재 저는 Brand Package Design, Wrapping Design 프리랜서와 기업체 실무교육 강의를 담당하고 있으며, 대학원에 재학중인 학생 입니다. 유통학을 전공하면서 경영, 마케팅, 물류 등 다양한 지식을 습득 하였지만, 무엇보다 이 모든 것을 아우르기 위해서는 가장 기본인 “디자인”의 필요성을 느꼈고,학교를 선택함에 있어, 수많은 고민을 하며 본 한양사이버대학교 디자인학부는.. 훌륭한 교수진과 창의력에 바탕을 둔 디자이너를 양성해줄 수 있는, 차별화되고, 수준 높은 교육과정이었으며, 디자인을 보다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다는 설렘에 망설임 없이 다시 입학하게 되었습니다. 적게 내고, 많이 배우는 곳..
온라인 대학에서는 상상하지 못했던.. 변함 없이 지속되는 오프라인 특강을 마주하는 순간 순간을 돌이켜보면 몇 시간이 짧게 느껴질 만큼.. 시간이 흐르는 게 아쉬울 만큼.. 행복 그 자체였습니다.
"과연.. 이런 게 명품 강의구나!” 라는 감탄의 탄식이 나올만큼, 교수님들의 열정은 과히 최고라 해도 과언이 아니 였고, 존경할 수 밖에 없는 교수님들이셨습니다.